메뉴 건너띄기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IST 융합연구정책센터

통합검색

해외

융합소식

해외

[산업] 스페이스엑스, 이번엔 민간 우주유영 시대 연다

date2022-02-21

view371

이르면 4분기…‘폴라리스 던’ 프로그램 발표

첫 저궤도 우주여행했던 기업가, 4명 팀 꾸려

500km 상공서 우주유영…5일간 궤도 여행

고도 1000km 이상 우주비행 시도할 가능성

 

 

폴라리스 프로그램에서 우주유영을 하는 민간인 우주비행사 상상도. 폴라리스 프로그램 제공

 

 

2020년 최초의 민간 유인 우주선을 개발한 미국의 우주기업 스페이스엑스가 이번엔 최초의 민간인 우주유영에 도전한다. 

 

스페이스엑스는 14일(현지시각) 좀 더 과감한 유인 우주여행 프로그램 폴라리스(Polaris, 북극성이란 뜻)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폴라리스는 새로운 우주 기술을 선보이고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하며, 차세대 민간 우주선 스타십의 첫 유인 비행을 시도하는 3개의 유인 우주비행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첫번째 프로그램인 폴라리스 던(Polaris Dawn)은 팰컨9 로켓과 우주선 드래건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해, 지난해 저궤도 여행 때 날았던 575km보다 훨씬 더 높은 고도까지 유인비행을 한다.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2중 도넛 모양의 밴엘런 복사대(Van Allen radiation belt)의 하단 끝자락이 이번 여행의 목표 지점이다. 밴앨런 복사대는 지구 자기장에 의해 하전 입자들이 집중적으로 몰려 있는 고도 640~6만km의 고에너지 공간으로 안쪽(1000~6000km)과 바깥쪽(1만3000~60000km) 두 개의 벨트로 이뤄져 있다. 

 

 

밴앨런 복사대는 외대와 내대 두개의 대역으로 이뤄져 있다. 한국기상학회/네이버

 

 

 

스페이스엑스, 강력한 우주유영복 제작 공급

 

이번 여행을 기획한 미국의 억만장자 기업가 재러드 아이잭먼(Jared Isaacman)은 기자간담회에서 “1966년 미 항공우주국(나사)의 제미니 11호의 기록(고도 1375km)을 이정표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국제우주정거장보다 3배나 더 높은 곳이다. 제미니 11호는 아폴로 달 착륙을 빼고는 인간이 가장 멀리 날아간 기록을 갖고 있다. 아이잭먼은 그러나 비행 목표 고도를 특정하지는 않았다. 대신 “우리는 인간이 마지막으로 달에 발을 디딘 이후 가장 멀리 우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이잭먼의 말을 근거로 추정하면 폴라리스는 고도 1000km 이상 비행에 도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폴라리스 던’ 우주여행팀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 두번째가 이번 여행을 기획한 재러드 아이잭먼이다. 폴라리스 프로그램 제공 

 

이르면 올해 4분기를 목표로 하고 있는 이 우주여행에선 5일간의 궤도 비행 중 고도 500km 궤도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민간인 우주유영을 시도할 계획이다. 우주선 밖으로 나가는 것은 우주 비행사가 수행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활동 중 하나로, 전문 우주비행사가 아닌 민간인이 이를 시도한 적은 없었다. 스페이스엑스 수석 운영 엔지니어인 사라 길리스는 ‘워싱턴포스트’에 “미 항공우주국(나사)이 오랜 우주유영을 통해 얻은 지식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스페이스엑스는 민간 우주유영을 위해 기존의 선내 우주복(IVA)을 개선한 선외 우주복(EVA)을 개발해 공급할 계획이다. 선외 우주복에는 훨씬 더 강력한 보호 기능이 있어야 한다. 나사는 “선외 우주복은 우주 방사선과 먼지, 파편, 극한의 기온으로부터 우주비행사를 보호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