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띄기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IST 융합연구정책센터

통합검색

융합연구리뷰
ISSN : 2465-8456

발간물

융합연구리뷰

Vol.4 No.10

대학교육과 연구개발의 혁신 모델로서 국내 리빙랩 추진 현황과 과제, 사회문제 해결형 융합연구의 특성과 발전 방향

date2018-10-15

writer성지은, 송위진

view5546

대학교육과 연구개발의 혁신 모델로서 국내 리빙랩 추진 현황과 과제, 사회문제 해결형 융합연구의 특성과 발전 방향

대학교육과 연구개발의 혁신 모델: 리빙랩(Living Lab) 추진 현황과 과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와 소규모 커뮤니티의 요구와 달리 기존의 대학교육과 연구개발은 상대적으로 폐쇄적이었던 환경으로 인해 변화의 속도가 느린 편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돌파구이자 혁신활동의 한계 극복 수단으로, 사용자 및 수요 중심의 연구를 진행하는 리빙랩(Living Lab)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다. 소통을 통한 지역 내 문제인식 및 극복방안을 도출하여 보다 나은 삶의 질을 공공에게 제공하는 리빙랩은 지역 내에 위치한 대학과 연구소의 새로운 혁신 모델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본 호 1부에서는 다양한 국내 리빙랩 추진, 성과 현황과 내용을 살펴보며 리빙랩의 성과와 의미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국내 리빙랩은 중앙정부, 지자체 및 중간지원 조직, 대학, 풀뿌리 조직 등 다양한 추진주체가 중심이 되어 생활, 환경, 재난-안전, 격차해소와 같은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소비자 중심의 문제해결 방식을 통해 기존 대학교육 및 연구개발의 한계점이었던 이론 및 기술기반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였다. 보다 원활한 리빙랩 추진을 위해 1) 중앙정부 및 지자체 예산집행과 사업추진의 유연성 확보, 2) 플랫폼 구축에 대한 전망 확립, 3) 공익성을 지닌 똑똑한 최종 사용자 조직 필요, 4)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체계 구축, 5) 리빙랩의 지속가능 활동 유지를 위한 장기적 비전 확립 및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연계 강화와 같은 다섯 가지 해결과제를 제시한다.

본 호를 통해 실수요자 기반,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의 리빙랩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기회이자, 미래사회 변화 대응에 관한 여러 문제해결 방안마련 수단으로써 리빙랩의 확산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사회문제 해결형 융합연구의 특성과 발전 방향

최근의 과학기술정책은 단순히 기술의 발전과 선진화를 위한 정책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닌, 해당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대중 삶의 질 향상과 같은 공공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을 지향한다. 기술과 사회는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한다. 이에 따라 과거와는 달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연구가 전 세계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각기 다른 자신들만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본 호 2부에서는 과학기술정책의 진화 역사를 시작으로 해외의 사회문제 해결형 융합연구 사례를 바탕으로 어떠한 사회적 문제들이 해결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시사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추격형 연구를 진행하던 국내 연구는 이제 탈추격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는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지식의 융합을 더욱 필요로 하며, 이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융합적 관점에서 미래 사회-기술시스템을 전망하는 작업의 제도화, 실험을 통한 학습을 위한 시범사업 및 실증연구 추진, 시민사회 참여 촉진, 사회적 가치 평가기준 개발-적용 등의 작업이 필요하다.

본 호를 통해 기술의 융합뿐만 아니라,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사회-기술 분야 간 융합연구 또한 융합연구의 또 다른 주축으로 발돋움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