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띄기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KIST 융합연구정책센터

통합검색

융합연구리뷰
ISSN : 2465-8456

발간물

융합연구리뷰

Vol.4 No.3

스마트팜 기술 및 정책 동향, 미래 스마트팜 기술

date2018-03-05

writer김연중, 노주원, 김호연

view10605

스마트팜 기술 및 정책 동향, 미래 스마트팜 기술

4차 산업혁명 대응 스마트팜 기술 및 정책 동향 


농업은 식량안보와 직결되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산업이다. 하지만 인구 감소 및 고령화, 농가 소득의 정체 등으로 인해 농업이 쇠퇴하고 있으며, 이에 우리나라 산업에서 농업의 비중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더욱이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기후변화는 이러한 농업 내외부환경의 변화를 더욱 가속시키고 있다. 이제 우리는 농업의 생산력을 향상시키고 변화하는 내외부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통적인 농업 방식에서 탈피하기 위해 과학기술 특히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을 농업에 접목시켜 전통적인 농업 방식에서 탈피하고 농업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높이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대표사례가 농업기술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팜(Smart Farm) 이다.  

이에, 본 호 1부에서는 농업에 적용가능한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살펴보고 기술과 농업의 연계방안, 관련 정책 동향을 다루고자 한다. 또한,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한 우선전략 및 핵심기술, 인프라 구축 등의 우선순위도 살펴보고자 한다. 그동안 우리나라도 농업시설 현대화사업부터 농업과 ICT 기술 융합을 위한 정책 추진하며, 농업산업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우리나라는 IT 기술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관련한 인프라는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스마트팜으로 대표되는 농업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적용모델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농업의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는 전과정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분석하여, 농업 로봇, 드론, 스마트폰 앱 등과 연계해야 한다. 또한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법, 규제, 제도, R&D 등의 기반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 호 주제가 농업산업의 침체를 극복하고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한 전략 방향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스마트팜 기술

더운 여름, 뜨거운 햇볕 아래에서 일하는 힘든 농사일,이제는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이미 대량 생산, 농업의 기계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미국, 캐나다, 유럽 등에서는 농사일을 직접하는 사람을 구경하기 힘든 실정이다.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물결과 농업이 만나 이러한 현상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농업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접목에서 핵심은 사물 인터넷(IoT), 딥러닝(deep-learning),인공지능 기술 등을 기반으로 각종 계측 센서를 통해 빅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가공 및 활용하는 것이다. 이에 많은 농업 관련 대기업들은 데이터 기반 정보획득을 위해 데이터 관련 회사들과 합병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의 지원도 강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5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시작된 스마트팜 상용화 기술개발 산업을 위한 국가적인 지원이 시작되었고, 국내 기술 개발을 넘어 세계적인 기술로의 도약을 시작한 상태이다.

이에 본 호 2부에서는 데이터 기반 농업 더 나아가 미래농업에서의 스마트팜 기술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스마트팜의 핵심은 데이터의 수집, 가공 및 활용에 있다. 스마트팜을 위한 데이터 수집, 가공, 활용에 필요한 기술들과 국내외 현황들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스마트팜 기술이 스마트팜 시장을 선도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